바이낸스 stop limit에 대해 궁금해하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바이낸스 스탑리밋 뜻, 활용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바이낸스 stop limit이란?
일단 스탑 리밋이 무엇인지 알아보겠습니다. 리밋은 ‘지정가’를 뜻하며, 스탑은 ‘멈춘다’라는 의미 인데요.
따라서 스탑 리밋이란 ‘특정 가격에 도달한 경우 멈춘 후 지정가 주문을 제출하는 주문’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시장 가격이 자신이 원하는 특정 가격에 도달했다면 지정가 주문을 시장에 들어갑니다. 그 덕분에 가격창을 계속 보고 있지 않아도 주문 제출이 가능한 셈 입니다.
바이낸스 스탑 리밋 스탑 로스 차이
바이낸스 스탑 리밋은 이득을 보고 있는 상황에서 특정 지정가에 익절하는 것, 스탑 로스는 손해를 보고 있는 상황에서 특정 지정가에 손절하는 것이라는 차이가 있습니다.
즉, 바이낸스 스탑리밋으로 거래를 진행하고 스탑로스를 걸어두면 스탑로스입니다. 단어가 비슷해보이지만 개념은 아예 다른 겁니다.
바이낸스 stop limit 사용 방법
스탑리밋의 경우 현물, 마진, 선물 등 대부분의 거래 방식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바이낸스 스탑리밋 설정 방법
바이낸스 현물 스탑리밋, 선물 스탑리밋 모두 동일하게 진행됩니다. 바이낸스 스탑로스 설정도 마찬가지로 진행해주시면 됩니다.
1. Limit, Market 탭 옆에 있는 Stop-limit 탭을 클릭합니다.

2. 스탑 가격을 설정해줍니다. 스탑 가격에 시장가격이 도달하면 리밋 주문이 발동됩니다.

3. 리밋 가격을 설정해줍니다. 스탑 가격에 시장가격이 도달해 리밋 주문이 발동될 때, 실제 주문을 체결시키는 가격이 리밋 가격 입니다.

바이낸스 스탑리밋 장단점
스탑리밋의 장점은 시장을 계속해서 모니터링 할 필요가 없어진다는 점 입니다. 이는 특히 스윙, 데이 트레이더 등 단타 트레이더에게 더 활용도가 높습니다.
스탑리밋의 단점은 예상치 못한 손절이나 익절, 진입이 생길 수 있습니다. 그리고 시장의 변동성이 큰 경우 스탑 리밋 주문이 체결되지 않는 경우도 생길 수 있다는 단점이 있죠.
바이낸스 스탑리밋 수수료
스탑리밋을 사용하게 되면 지정가 거래라고 볼 수 있는데요.
바이낸스 지정가 거래 수수료는 0.02% 입니다.
현물 및 선물거래 수수료는 아래 글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바이낸스 사용법
지금까지 정리해둔 모든 거래소 사용법들과 QNA를 보기 편하게 노션으로 모아두었습니다. 즐겨찾기 해두시고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코인 거래소 사용법 확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