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겟 kyc 인증에 대해 궁금해하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비트겟 kyc 신원 인증 방법 및 인증 시간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kyc 인증이란?
비트겟에 회원가입을 하고 나면 kyc 인증이라는 것을 하라는 메세지가 나오는데요.
kyc는 know your customer(고객 알기)의 줄임말로, kyc인증은 쉽게 말해서 고객 신원 인증 정도로 생각하시면 됩니다.
비트겟 kyc인증 방법에 대해 알아보기 전에 한가지 중요한 사실을 짚고 넘어가겠습니다.
바로 비트겟 레퍼럴 코드 등록을 꼭 하시라는 말을 전해드리고 싶습니다. KYC인증을 아직 안하셨다면 레퍼럴 등록을 먼저 하고 인증을 하셔야 귀찮은 인증을 두번 하지 않게 됩니다.
또한 인증까지 마쳐놓고 추후에 레퍼럴 코드를 등록하지 않아서 엄청난 거래 수수료를 페이백 받을 수 있었다는 사실을 알고 다시 재가입 하는 분들도 계십니다.
많은 분들이 추가 페이백을 준다면서 본인들의 사이트에 가입 후 페이백을 거래소가 아닌 사이트에서 지급하는데요. 이렇게 할 경우 해당 업체가 문닫고 튀어버리면 페이백 혜택은 물론 거래 수수료 할인도 받을 수 없습니다.
보통 이런 업체들은 대부분 거래 수수료 페이백이나 할인을 거래소 자체의 시스템을 이용하지 않고 본인들 사이트에서 페이백하며 충분히 수익이 생겼을 때 잠적하는 모습을 보입니다.
그래서 개인적으로는 업체를 믿을 바에 차라리 셀퍼럴을 진행하라고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아래 링크에서 바로 레퍼럴 등록하고 거래 수수료 20% 페이백 받으며 가입하실 수 있습니다.
💶 비트겟 20% 페이백 가입하기비트겟 kyc인증 안하면
비트겟 kyc인증을 안하면 여러 불이익이 있는데요. 대표적으로 거래 한도에 제한, 입출금 불가 등이 생기게 됩니다.
구체적인 kyc 미인증 시 받는 불이익은 해당 글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비트겟 kyc 인증 방법
1. 비트겟 사이트에 접속하여 로그인 합니다.
2. 우측 상단의 내 계정 아이콘 클릭, [ID Verification] 순서대로 메뉴를 클릭합니다.

3. 좌측은 개인 신원인증, 우측은 기관 신원인증 인데요. 왼쪽의 [Start Verification] 버튼을 클릭합니다.

4. 국가 및 성, 이름을 입력합니다.

5. 신분증 종류를 골라주시고, 신분증 번호 입력 및 생년월일을 선택해줍니다.

이때 비트겟 kyc 인증 신분증 번호(Identity no.)에 어떤 번호를 입력해야 하는지 헷갈려하시는데요.
신분증의 경우 주민등록번호, 여권의 경우 여권번호, 운전면허증의 경우 운전면허증 번호를 입력해주시면 됩니다.
6. 신분증 앞면 사진, 신분증 뒷면 사진, Bitget과 현재 날짜가 적힌 종이 + 신분증 을 들고 찍은 셀카를 업로드 해줍니다.

7. Submit 버튼을 누르면 최종적으로 kyc 인증이 완료되며,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옵니다.

비트겟 kyc 인증 시간
비트겟 신원인증까지 걸리는 시간은 최소 5분에서 최대 48시간까지 걸리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최근에는 거의 5분안에 처리가 되니 걱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비트겟 사용법
지금까지 정리해둔 모든 거래소 사용법들과 QNA를 보기 편하게 노션으로 모아두었습니다. 즐겨찾기 해두시고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코인 거래소 사용법 확인하기